, ,

한국, 수천 명의 아동 해외 입양에 대한 오랫동안 기다려온 보고서 발표북아시아 특파원 제임스 오튼과 이수경주제: 입양

Posted by

8시간 전
라리사 딕슨이 햇빛이 비치는 정원에 서서 아기 시절의 작은 사진을 들고 있다.
라리사 딕슨은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1980년대에 퍼스에서 자랐다. (ABC 뉴스: Nicholas Martyr)

라리사 딕슨은 40년 이상 자신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 건강 합병증이 악화되면서 퍼스의 어머니는 진실을 밝혀낼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느낀다.

라리사는 “항상 결코 어울리지 못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라고 회상한다.

“그것은 제 정체성의 매우 강력한 부분이어서 어떻게 채워야 할지 몰랐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한국은 약 22만 명의 아동을 서방 국가로 보내면서 세계 최대의 아기 수출국이라는 명성을 얻었습니다.

악명 높은 입양 기관인 Eastern Social Welfare Society는 약 3,600명의 아기를 호주로 보냈다고 합니다.

아기 라리사는 엄마가 발을 잡고 있는 동안 미소 띤 엄마 무릎에 앉아 있습니다.
라리사는 호주에서 자라면서 적응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제공)

많은 입양 부모가 원치 않는 아이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고 있다고 믿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밝혀진 진실은 훨씬 더 어둡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입양으로 이어진 상황에 대한 거짓말이 가득한 사기 문서와 함께 보내졌습니다.

다른 아이들은 부모에게서 완전히 빼앗겼습니다. 일부는 앞마당에서 놀고 있었고, 다른 아이들은 태어난 직후 병원에서 데려갔습니다.

답을 찾는 과정은 방해와 은폐로 인해 좌절되었습니다.

수요일, 3년간의 조사 끝에 한국의 진실화해위원회는 지금까지 가장 본질적인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취약한 어린이를 보호하지 못한 과거 정부에 대한 혹독한 평가를 내리고 사기와 학대가 만연한 시스템의 책임을 그들에게 돌렸습니다.

보고서는 “정부는 국내 아동 복지 정책을 강화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적인 대안으로 국제 입양을 우선시했습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누워 있는 아기 라리사의 오래된 사진.
라리사는 보고서가 발표된 후 약간의 희망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제공)

위원회는 또한 입양 기관이 “최소한의 절차적 감독으로 대규모 국제 입양을 촉진했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는 “많은 어린이의 신원과 가족 정보가 분실, 위조 또는 조작되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해외로 보내진 후 입양아는 적절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했습니다.”

라리사에게 이 보고서의 권고안은 투명성과 정의를 위해 싸운 “용감한 개인”에게 중요한 승리였습니다.

그녀는 “저는 그 결과에 압도당했고 감정이 북받쳤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이제 저 자신과 전 세계의 다른 한국 입양아 모두에게 약간의 희망을 느낍니다. 우리의 선천적 권리에 대한 접근이 방해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많은 입양아에게 진실을 찾는 여정은 호주와 같은 수혜국이 스캔들에서 그들의 역할을 조사하라는 압력이 커지면서 긴 여정이 될 것입니다.

공식 문서에는 서명을 쓸 수 있는 두 개의 검은 선 근처에 있는 아기의 작은 사진이 나와 있습니다.
라리사는 항상 “일종의 이중 정체성”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제공)

‘왜 그들은 나를 원하지 않았을까?’
많은 한국계 호주 입양아와 마찬가지로 라리사 딕슨은 상충되는 감정을 가지고 자랐습니다.

그녀는 호주인 부모님이 그녀를 매우 사랑한다는 것을 알았지만, 1980년대 퍼스 교외에서 대부분 백인 아이들과 함께 자란 라리사는 자신이 결코 적응하지 못한 것 같다고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인종차별도 훨씬 더 용납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현아”라고 쓰여진 아기의 퇴색된 사진.
이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어린이를 보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제공)

“항상 이런 종류의 이중 정체성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회상합니다.

“누군가가 나를 원하지 않았어요. 왜 나를 원하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나를 원했지만 너무나 다른 모습이었던 사랑하는 부모님이 있다는 것도 알고 있었으니까요.”

라리사의 입양 서류에는 그녀가 버림받았다고만 적혀 있었고, 친부모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의심은 조작된 입양 절차에 대한 보도가 나오면서 커졌습니다.

라리사는 영어와 한글로 쓰인 정보가 담긴 서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리사는 매달 아기 검진을 하는 것이 사기이고 한꺼번에 작성되었다고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ABC 뉴스: Nicholas Martyr)

작년에 그녀는 서울로 날아가 입양 기관인 Eastern Social Welfare Society와 면담을 강요했고, 그들이 그녀를 만날 때까지 로비에서 캠핑을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면담은 성공적이었고, 그녀의 친어머니, 조부모, 이모의 이름을 포함한 작은 보물 창고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그녀의 친아버지의 성도 포함되었습니다.

“저는 정말 놀랐어요.” 그녀는 회상합니다.

“왜 내 출생 증명서에 이름이 없는 채로 남았을까요?”

그 밖의 불일치 사항도 발견되었습니다.

입양 기관에서 그녀의 아기 발달 기록 확인서는 분명히

그녀는 그들이 모두 같은 펜 잉크와 필체를 가지고 있는 것을 관찰하면서, 몇 달 간격이 아니라 같은 시간에, 그녀는 말한다고 한다.

그녀는 이것이 기관이 어떠한 실사도 하지 않았고 가능한 한 빨리 그녀를 입양시키고 싶어했다는 증거라고 믿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관의 서류에는 그녀의 친어머니가 딸에게 멋진 삶을 기원하는 메모가 있었다.

그녀가 단순히 버림받은 것 같지는 않았다.

라리사는 표에 정보가 있는 서류와 남자가 아기를 품고 있는 세 장의 작은 사진을 본다.
라리사는 서울로 가서 그녀를 입양시킨 기관과 호주 부모를 만나도록 강요해야 했다. (ABC 뉴스: Nicholas Martyr)

라리사는 “입양 서류를 둘러싼 모든 것과 그것이 진실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게 만든다”고 말한다.

“저는 어렸을 때 버림받았다고 믿었고, Eastern에서 가지고 있던 정보로는 그게 의심스럽습니다.

“정말 충격적입니다.”

정부가 어린이를 보호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3년 동안 한국의 진실화해위원회는 1964년에서 1999년 사이에 해외로 보내진 367명의 입양아에 특히 초점을 맞춰 이 스캔들을 조사해 왔습니다.

수요일에 발표된 보고서는 시간 제약으로 인해 주로 불만 제기자 중 56명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입양에 대한 적절한 동의가 없었고, 어린이들의 보고서가 조작되었으며, 입양 부모에 대한 심사 절차가 부적절하고 성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 박선영(오른쪽)이 기자 회견에서 입양아 유리 김을 위로하고 있습니다.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 박선영(오른쪽)이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입양아 유리 김을 위로하고 있습니다. (AP: 안영준)

또한 입양 기관이 한국 아기의 높은 수요를 충족하도록 촉구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아동을 보호하지 못했다는 결론을 내리고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공식 사과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또한 피해자에 대한 “구제책”과 입양 기관에 “입양인의 권리를 회복”하겠다는 약속을 촉구했습니다.

한 불만 제기자이자 미국 시민인 메리 바워스는 이 보고서가 “단지 시작일 뿐”이며 정부가 입양 기록을 공개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성명에서 “과거의 진실을 밝혀낸 사람들에게,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여러분과 함께 하며 정의와 책임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분영은 무릎에 서류를 얹은 남자와 여자 옆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한분영(가운데)은 곧 답을 찾는 일이 쉬워지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AP: 안영준)

한분영은 위원회의 조사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조직인 덴마크 한인권익단체의 공동 대표입니다.

그녀는 보고서가 더 많은 개별 사례의 진실을 밝혀내기를 바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이제 6월에 일어날 네 개의 입양 기관이 정부 부서와 통합되면 답을 찾는 것이 더 쉬워지기를 바랐습니다.

그녀는 “우리는 모두가 옳은 일을 할 것이라고 순진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지켜볼 것입니다. 회의적이거나 현실적이지 않기가 어렵습니다.”

호주 미국 한인권익단체(AUKRG)도 신중한 낙관론으로 대응했습니다.

“오늘은 진정으로 역사적인 순간이지만, 시작일 뿐입니다. 해야 할 일이 더 많습니다.”라고 성명에서 밝혔습니다.

“더 광범위한 국제 조사가 시급히 필요합니다.”

라리사는 아기 시절의 작은 사진을 들고 있습니다.
라리사의 입양 부모는 그녀가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한 수색을 지지했습니다. (ABC 뉴스: Nicholas Martyr)

Larissa는 여전히 답을 찾고 있습니다
입양인들이 한국이 보고서에 어떻게 대응할지 기다리는 동안, 호주의 많은 사람들은 현재 주 또는 연방 정부가 당시 무엇을 알고 있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Larissa의 부모는 그녀가 진실을 찾는 것을 매우 지지하며, 다큐멘터리를 보고 이 문제에 대한 뉴스 기사를 읽었습니다.

Larissa는 어두운 방에 앉아 카메라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Larissa는 친부모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ABC 뉴스: Nicholas Martyr)

“저는 고통을 견딜 수 있지만, 아이가 고통을 겪는 것은 원치 않습니다.” Larissa의 아버지 Peter Dickson이 말했습니다.

“그게 우리의 마지막 의도였습니다.”

마침내 저는 출생국에서 고향을 찾았습니다
사진은 Luke Bowden이 서울의 동부 복지 사회 입양 센터 밖에 서서 아기 시절의 자신의 사진을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Luke Bowden이 서울의 동부 복지 사회 입양 센터 밖에 서서 아기 시절의 자신의 사진을 들고 있습니다.
내 인생의 모든 사람들은 나를 루크로 알고 있지만, 내 인생의 처음 6개월 동안 나는 최정혁이었습니다. 올해 초에 나는 내 발자취를 따라가기 위해 출생국인 한국으로 여행을 갔습니다.

그는 당시 호주가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한 조사를 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서부 호주 부서에 우리를 대신하여 행동할 수 있는 허가를 주었으므로, 그들이 그 아이가 입양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모든 실사를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라리사는 답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ues.

그녀는 친가족의 이름을 받았지만, 그들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녀는 DNA 검사를 하고 싶어하지만, 위장 운동 장애로 인해 신경계에 영향을 받아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은 “엄청난 노력”입니다.

지금으로서는 호주가 사기 입양 시스템에서 호주의 역할을 조사하기를 바랍니다.

그녀는 “70년대와 80년대에 일어났기 때문에 호주가 여전히 책임이 있다고 믿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가짜 고아와 가짜 입양 조사.

아침 뉴스 브리핑을 이메일로 받으세요
ABC NewsMail을 구독하면 오늘 밤의 긴급 뉴스와 하루를 바꿀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귀하의 정보는 ABC 개인정보 수집 정책에 따라 처리됩니다.
이 사이트는 reCAPTCHA에 의해 보호되며 Google 개인정보처리방침과 서비스 약관이 적용됩니다.

이메일 주소
ozilbo07@gmail.com
구독
8시간 전에 게시됨

South Korea releases long-awaited report into overseas adoptions of thousands of children

By North Asia correspondent James Oaten and Sookyoung Lee

8h ago8 hours ago

Larissa Dickson stands in a garden in sunlight as she holds small photos of herself as a baby.
Larissa Dickson was born in South Korea but grew up in Perth in the 1980s. (ABC News: Nicholas Martyr)

abc.net.au/news/south-korean-adoptees-truth-reconciliation-commission/105098570

Link copiedShare article

Larissa Dickson has spent more than four decades knowing a vital part of her history has been missing.

But now, as health complications worsen, the Perth mother feels that time to uncover the truth is running out.

“There was always a feeling that you never quite fit in,” Larissa recalls.

“It’s such a strong part of my identity that I didn’t know how to fill.”

In the decades after the Korean War, South Korea earned the reputation as the world’s biggest baby exporter, with some 220,000 children sent to Western nations.

One infamous adoption agency, Eastern Social Welfare Society, reportedly sent about 3,600 babies to Australia.

Baby Larissa sits on her smiling mum's lap while her mum holds her feet.
Larissa said she never felt like she quite fit in, growing up in Australia. (Supplied)

While many adoptive parents believed they were giving an unwanted child a second chance, the truth revealed in recent years was much darker.

Many children were sent away with fraudulent documentation, littered with lies about the circumstances that led to their adoption.

Other children were outright stolen from their parents: some while playing in the front yard, others taken from hospitals soon after being born.

The search for answers has been met with obstruction and obfuscation.

On Wednesday, after a three-year investigation, South Korea’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leased its most substantive report to date.

It has delivered a scathing assessment of past governments for failing to protect vulnerable children, and blamed them for a system rife with fraud and abuse.

“The government prioritised inter-country adoption as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domestic child welfare policies,” the report reads.

An old photo of baby Larissa lying down.
Larissa said she felt some hope after the release of the report. (Supplied)

The commission also said adoption agencies had “facilitated large-scale, inter-country adoptions with minimal procedural oversight”.

“The identities and family information of many children were lost, falsified, or fabricated,” the report said.

“After being sent abroad, adoptees were left without appropriate legal protections.”

For Larissa, the report’s recommendations were an important win for the “brave individuals” who have fought for transparency and justice.

“I am overwhelmed and quite emotional at the findings,” she said.

“I now feel some hope, both for myself and my fellow Korean adoptees worldwide. May access to our birthright be unhindered.”

But for many adoptees, the search for truth will be a long journey, with increasing pressure for recipient countries like Australia to investigate their part in the scandal.

An official document shows a small photo of a baby near two black lines where a signature can be written.
Larissa said she has always felt a “kind of dual identity”. (Supplied)

‘Why didn’t they want me?’

Like many Korean Australian adoptees, Larissa Dickson grew up with conflicting emotions.

She knew her Australian parents loved her dearly, but growing up in suburban Perth in the 1980s, with mostly white children, Larissa said she felt as if she had never quite fit in.

Racism was also much more acceptable, she adds.

A photo of a faded photo of a baby with "Kim, Hyun Ah" written across the bottom.
The report fou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failed to protect children. (Supplied)

“There was always this kind of dual identity,” she recalls.

“Someone didn’t want me. Why didn’t they want me?

“But then also knowing that I had loving parents who did want me but looked so very different.”

Larissa’s adoption papers simply stated she was abandoned, with no information about her birth parents at all.

But her suspicions grew as reports emerged of fabricated adoption processes.

Larissa holds paperwork with information written in English and Hangul.
Larissa said she felt her monthly baby check-ups were fraudulent and written all at once. (ABC News: Nicholas Martyr)

Last year, she flew to Seoul and forced a meeting with the adoption agency Eastern Social Welfare Society, telling them she would camp out in their lobby until they met with her.

The meeting proved to be a success, with a small treasure trove of information being released, including the name of her birth mum, grandparents and aunts.

It also included the surname of her birth dad.

“I was just astonished,” she recalls.

“Why was my birth certificate left with no names?”

Further discrepancies were also uncovered.

Her baby milestone checks at the adoption agency were obviously written at the same time, instead of months apart, she says, observing they all had the same pen ink and handwriting.

This, she believes, was proof the agency had not done any due diligence and had wanted to adopt her out as soon as possible.

And finally, in the agency files was a note by her birth mother, in which she wished her daughter a wonderful life.

It did not appear she was simply abandoned.

Larissa looks at paperwork that has informaiton in tables and three small photos of a baby being held by a man.
Larissa had to travel to Seoul and force a meeting with the agency that had adopted her out to Australian parents. (ABC News: Nicholas Martyr)

“It really just makes you question everything surrounding the adoption paperwork and whether any of it is the truth,” Larissa says.

“I believed growing up that I’d been abandoned and that is questionable with the information Eastern had.

“It’s really quite shaken me.”

Government failed to protect children

For the past three years, South Korea’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as been investigating the scandal, with particular focus on 367 adoptees who were sent overseas between 1964 and 1999.

The report, released on Wednesday, primarily focused on 56 of the complainants due to time constraints.

It found there was a lack of proper consent for adoption, children’s reports were fabricated and screening processes of adoptive parents were inadequate and rushed.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Chairperson Park Sun Young, right, comforts adoptee Yooree Kim during a press conference.
As she releases the repor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chair Park Sun Young (right) comforts adoptee Yooree Kim. (AP: Ahn Young-joon)

There was also pressure on adoption agencies to meet the high demand for Korean babies.

It conclud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failed to protect children and recommended an official apology to those affected.

It also called for “remedies” for victims and a commitment from adoption agencies to “restore adoptees’ rights”.

One complainant, American citizen Mary Bowers, said the report was “just the beginning” and the government needed to do more to release adoption records.

“To those uncovering the truth of their pasts, you are not alone — we stand with you and we will continue to push for justice and accountability,” she said in a statement.

Han Boonyoung sits in a chair next to a man and a woman with papers on her lap.
Han Boonyoung (centre) said she hoped the search for answers would become easier soon. (AP: Ahn Young-joon)

Han Boonyoung is the co-representative of the Danish Korean Rights Group, an organisation that was instrumental in securing the commission’s investigation.

While she said she had hoped the report would uncover the truth of more individual cases, she said its findings were “significant” nonetheless.

She now hoped the search for answers would become easier once all four adoption agencies were amalgamated with a government department, which will happen in June.

“We cannot be so naïve that everyone’s going to do the right thing,” she said.

“We’ll see. It’s hard not to be a sceptic or realistic.”

The Australia United States Korean Rights Group (AUKRG) also responded with cautious optimism.

“Today marks a truly historic moment, but it is a start — there is more to be done,” it said in a statement.

“A broader international investigation is urgently needed.”

Larissa holds small photos of herself as a baby.
Larissa’s adoptive parents supported her search for more information. (ABC News: Nicholas Martyr)

Larissa still seeking answers

While adoptees wait to see how South Korea will respond to the report, many in Australia are now questioning what state or federal governments knew at the time.

Larissa’s parents have been very supportive of her search for truth, watching documentaries and reading news reports about the issue.

Larissa looks into the camera as she sits in a dark room.
Larissa hasn’t been able to locate her birth parents. (ABC News: Nicholas Martyr)

“I can cope with the pain, but what you don’t want is the child to suffer pain,” Larissa’s father, Peter Dickson, said.

“That was the last of our intentions.”I finally found a sense of home in my birth country

Photo shows Luke Bowden stands outside the eastern Welfare Society adoption centre in Seoul, holding a photo of himself as a baby.Luke Bowden stands outside the eastern Welfare Society adoption centre in Seoul, holding a photo of himself as a baby.

Everyone in my life knows me as Luke, but for the first six months of my life I was Choi, Jeong Hyuk. Earlier this year I travelled to my country of birth, South Korea, to retrace my own footsteps.

He said he’d welcome an investigation into what Australia knew at the time.

“We gave permission to the West Australian department to act on our behalf, so we’d expect them to do every bit of due diligence to ensure that child is suitable for adoption,” he said.

Meanwhile, Larissa’s search for answers continues.

Despite receiving the names of her birth family, she has been unable to find them.

She wants to do a DNA test, but returning to South Korea again is a “mammoth effort”, as she suffers from gastrointestinal dysmotility, which impacts her nervous system.

For now, she also wants Australia to investigate its role in the fraudulent adoption system.

“Just because it happened in the 70s and 80s, I believe that Australia still has a responsibility,” she said.

https://youtube.com/watch?v=X5HV4pE-E0A%3Fstart%3D1%26feature%3Doembed

Investigating South Korea’s Fake Orphans and Sham Adoptions.

Get a morning news briefing in your inbox

Subscribe to our ABC NewsMail bringing you breaking news from overnight, plus a heads-up on the stories that will shape your day.

Your information is being handled in accordance with the ABC Privacy Collection Statement.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https://www.google.com/recaptcha/api2/anchor?ar=1&k=6LcNjL8lAAAAAB3chG8dvYH2LKi33r9xFw0kihjQ&co=aHR0cHM6Ly93d3cuYWJjLm5ldC5hdTo0NDM.&hl=ko&type=image&v=hbAq-YhJxOnlU-7cpgBoAJHb&theme=light&size=invisible&badge=bottomright&cb=xir8do8q3mqdEmail addressSubscribe

Posted 8h ago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