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북한은 위협적인 변화 속에서 남한과의 관계를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파일사진: 북한의 위협이 커지는 가운데 남북 국경의 모습

Posted by

분석-북한은 위협적인 변화 속에서 남한과의 관계를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파일사진: 북한의 위협이 커지는 가운데 남북 국경의 모습

분석-북한은 위협적인 변화 속에서 남한과의 관계를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파일사진: 북한의 위협이 커지는 가운데 남북 국경의 모습
파일 사진: DMZ 공동경비구역(JSA)

분석-북한은 위협적인 변화 속에서 남한과의 관계를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파일 사진: DMZ 공동경비구역(JSA)
파일사진: 북한의 위협이 커지는 가운데 남북 국경의 모습
파일 사진: DMZ 공동경비구역(JSA)
신현희와 조쉬 스미스
2024년 1월 4일 목요일 오후 4:05 AEDT
신현희, 조쉬 스미스 지음

서울(로이터) – 북한은 남한을 사실상 별도의 적국으로 취급하는 정책과 정부 조직에 변화를 주면서 남한과의 관계를 다루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분석가들은 수십 년 간의 정책을 깨뜨리는 이러한 조치로 인해 북한 외무부가 남한과의 관계를 장악하게 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향후 전쟁에서 한국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1950~53년 한국전쟁이 교착상태로 끝난 이후 양국은 서로를 다른 나라와 다르게 대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여기에는 외교부 대신 남북 관계를 전문 기관과 부처에 의존하는 것, 일반적으로 두 체제를 갖춘 단일 국가를 구상하는 미래 평화 통일을 위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주 연말 당대회에서 평화통일은 불가능하다며 정부가 ‘적’과 관련해 ‘결정적인 정책전환’을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유사시 남측을 평정하고 점령할 수 있는 준비를 군에 지시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정책 변화는 북한이 최근 몇 년간 점점 더 위협을 가해왔기 때문에 남한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홍 총리는 “평화통일을 포기하고 남한을 수교 없는 적대적 적국으로 재정의한다면 같은 민족을 상대로 핵무기를 사용하는 모순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실을 반영

일각에서는 북한의 선언이 분열과 격차가 깊은 양국의 현실을 반영한 것일 뿐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스팀슨 센터의 레이첼 이민영 연구원은 “최근 몇 년간 북한은 대남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시사해왔고 2023년 12월 당 전원회의에서 이를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공식화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

조직 변화의 정도는 불분명하며, 일부 분석가들은 이러한 수사가 현재 상태를 더 밀접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이미 적대적인 남북 관계에 큰 변화가 있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2016년과 2017년의 ‘화염과 분노’와 같은 이전의 높은 긴장 기간은 2018년과 2019년 김 위원장과 한미 정상 간 정상회담을 포함하여 억류 및 외교 기간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주.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은 당 전원회의 결과보고에서 우리를 화해와 통일의 상대자로 보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이를 진심으로 추진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북한과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다고 수요일 성명에서 밝혔다.

외상

노동당 통일전선부는 전통적으로 정보 수집, 선전 활동 등 대남 관계 업무를 맡아왔다.

그러나 언젠가 회담이 재개되더라도 이번 발표는 노련한 외교관인 최선희 외무장관이 한국과의 관계를 총괄하는 사람이 될 것임을 의미할 것이라고 스팀슨 센터의 북한 리더십 전문가인 마이클 매든이 말했습니다.

“통일과 대남 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고문으로서의 그녀의 역할을 김 위원장이 2019년 금강산 근처 옛 남북 휴양지를 방문한 때부터 추적할 것입니다. 그녀가 그 행사에 참석한 것은 전례가 없었지만 가장 이례적이었고 그녀의 영장이 확대될 것을 예고했습니다. 매든은 한국의 정책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남북 문제에서 거의 역할을 하지 않은 직업 외교관 최씨가 월요일 관영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남한과 관련된 ‘해체 및 개혁’ 작업을 주도했다는 사실은 외교부가 이러한 것들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에 따르면 조직과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이어 “전통적으로 남북관계를 담당해 온 통일전선부와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완전히 해체되거나 최소한 그 역할이 대폭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쿠

그는 또한 남부를 완전히 배제하고 미국과만 거래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매든은 외무부 관리들이 가끔 남북 문제에 관해 조언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김정일 정권 하에서는 외무부와 UFD 관리들 사이에 교차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변화가 일어나든 UFD의 주요 정보 관리들은 외면당할 가능성이 낮으며 해당 기관은 일부 주요 선전 방송과 웹사이트에 대한 권한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기자: 신현희, 조쉬 스미스, 추가 취재: 최수향, 글: 조쉬 스미스, 편집: 링컨 피스트.)

Analysis-In threatening shift, North Korea moves to redefine relations with South

  • FILE PHOTO: View of the inter-Korean border amid growing threats from North Korea1/2Analysis-In threatening shift, North Korea moves to redefine relations with SouthFILE PHOTO: View of the inter-Korean border amid growing threats from North Korea
  • FILE PHOTO: Joint Security Area (JSA) in DMZ2/2Analysis-In threatening shift, North Korea moves to redefine relations with SouthFILE PHOTO: Joint Security Area (JSA) in DMZ
FILE PHOTO: View of the inter-Korean border amid growing threats from North Korea
FILE PHOTO: Joint Security Area (JSA) in DMZ

Hyonhee Shin and Josh Smith

Thu, 4 January 2024 at 4:05 pm AEDT

By Hyonhee Shin and Josh Smith

SEOUL (Reuters) – North Korea is shaking up the way it handles relations with South Korea, enacting changes to policy and government organisations that would effectively treat the South as a separate, enemy state.

The moves, which break with decades of policy, could have North Korea’s foreign ministry taking over relations with the South, and potentially help justify the use of nuclear weapons against Seoul in a future war, analysts said.

Since the 1950-53 Korean War ended in a stalemate, both nations have had policies that treat each other differently than other countries.

That has included relying on special agencies and ministries for inter-Korean relations rather than their foreign ministries, and embracing policies for a future peaceful reunification, usually envisioning a single state with two systems.

But in remarks to a year-end party meeting last week,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aid peaceful reunification is impossible, and said the government would make a “decisive policy change” in relations with the “enemy”. He also ordered the military to be prepared to pacify and occupy the South in the event of a crisis.

The changes in policy could help North Korea justify using nuclear weapons against the South, as it has increasingly threatened in recent years, said Hong Min, a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in Seoul.

“If they give up on peaceful unification and redefine South Korea as a hostile enemy country with no diplomatic relations, the contradiction of using nuclear weapons against the same people will be eliminated,” Hong said.

REFLECTING REALITY

Some observers say North Korea’s declarations simply reflect the reality of two countries with deep divisions and disparities.

“North Korea in recent years had suggested that it was moving toward a fundamental shift in South Korea policy, and the December 2023 Party plenum not only confirmed it, it also formalised it,” said Rachel Minyoung Lee, of the U.S.-based Stimson Center.

The extent of the organisational changes is unclear, and some analysts said that because such rhetoric is more closely reflecting the status quo, there is unlikely to be a major shift in the already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Previous periods of high tensions, for example during the “fire and fury” of 2016 and 2017, have also occasionally been followed by periods of detent and diplomacy, including during the 2018 and 2019 summits between Kim and the president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 in its report on the result of the party plenary meeting said it would not consider us as a counterpart for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but the truth is that it has never sincerely pushed for them,” an official with the South’s unification ministry, which handles relations with the North, said in a statement on Wednesday.

FOREIGN MINISTER

The United Front Department (UFD)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has traditionally been tasked with relations with the South, including intelligence gathering and propaganda efforts.

But even if talks do someday resume, the announcement likely means that Foreign Minister Choe Son Hui, a seasoned diplomat, will be the one overseeing relations with the South, said Michael Madden, a North Korea leadership expert with the Stimson Center.

“I would trace her role as a substantive adviser on unification and South Korea policy to Kim’s 2019 visit to the former inter-Korea resort near Mt. Kumgang. Her attendance at that event was not unprecedented but it was most unusual and portended her writ expanding to South Korean policy,” Madden said.

The fact that Choe, a career diplomat who has played little role in inter-Korean affairs, led the task of “dismantling and reforming” entities linked to South Korea, as reported by state media on Monday, could mean the foreign ministry will absorb those organisations and their functions, said Yang Moo-jin, president of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in Seoul.

“The United Front Department and the Committee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Fatherland, which had traditionally handled inter-Korean ties, could be disbanded altogether or at least see their roles significantly reduce,” he said. North Korea could also decide to cut the South out entirely and only deal with the United States, he added.

While foreign ministry officials occasionally advised on inter-Korean issues, under Kim there has been no known crossover between foreign ministry and UFD officials, Madden said.

Whatever changes occur, key UFD intelligence official are unlikely to be sidelined and the agency is likely to retain authority over some key propaganda broadcasts and websites, he added.

(Reporting by Hyonhee Shin and Josh Smith; Additional reporting by Soo-hyang Choi; Writing by Josh Smith; Editing by Lincoln Fe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