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사협정 파기 후 병력과 중무기를 남한 국경으로 이동

Posted by

북한, 군사협정 파기 후 병력과 중무기를 남한 국경으로 이동
쉐타 샤르마
2023년 11월 27일 월요일 오후 8시 24분(AEDT)
한국 국방부가 2023년 11월 27일 공개한 이 날짜 미상의 유인물 사진은 남북한을 가르는 비무장지대(DMZ) 북쪽의 감시초소 근처에 있는 북한군을 보여준다(한국 국방부/AF)
한국 국방부가 2023년 11월 27일 공개한 이 날짜 미상의 유인물 사진은 남북한을 가르는 비무장지대(DMZ) 북쪽의 감시초소 근처에 있는 북한군을 보여준다(한국 국방부/AF)
북한은 2018년 역사적인 협정이 결렬된 후 남북 간 군사적 충돌을 피하기 위해 민감한 감시 초소를 재개하면서 군인과 무기를 남한 국경으로 돌진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5년 전 평화협정으로 철거된 비무장지대(DMZ) 경계선에 중무기를 배치하고 감시초소를 세웠다고 국방부가 월요일 밝혔다.

이 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의 회담을 시작으로 2018년 9월 김 위원장과 당시 한국 지도자 문재인의 기념 회담에서 공동 합의로 끝나는 남북 긴장을 완화한 지 1년 만에 이루어졌습니다. 재인.

그러나 이후 비핵화 회담의 진전은 교착상태에 빠졌고, 최근 북한이 유엔 주도 제재에 대한 저항의 표시로 정찰 위성을 궤도에 성공적으로 배치했다고 발표한 이후 남북한 사이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습니다.

보복 조치로 한국은 2018년 합의를 부분적으로 중단하고 국경을 따라 정찰 비행을 재개했습니다.

국영 언론인 KCNA에 따르면 북한은 협정을 완전히 탈퇴하고 협정의 일부를 무효화한 데 대해 한국이 “큰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맹세함으로써 대응했습니다.

월요일, 한국 국방부는 북한군이 여러 곳에 임시 감시 초소를 설치하는 모습을 담은 금요일 이후 촬영된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휴대용 대차량 무기나 경포 등 무반동총으로 보이는 것을 요새에 설치하는 모습도 포착됐다고 통신은 전했다.

한국 국방부는 남북을 가르는 비무장지대(DMZ) 북쪽에 초소를 재건하는 북한군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국방부/AF)
한국 국방부는 남북을 가르는 비무장지대(DMZ) 북쪽에 초소를 재건하는 북한군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국방부/AF)
한국 통신사인 연합뉴스에 따르면, 군 고위 관계자는 협정에 따라 감시초소가 파괴되기 전에는 감시초소가 있었으며 현재 북한이 “그 초소를 재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습니다.

관계자는 “현재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인 감시초소는 몇 개에 불과하지만 감시에 필수적인 시설인 만큼 북한이 모두 복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군도 상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명수 신임 위원장은 “적의 행동에 달려 있다. 행동을 취하고 신뢰를 깨뜨린 것은 북한이다. 우리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 더 어리석은 일”이라고 말했다. 토요일 취임한 합동참모본부.

한국의 추산에 따르면, 2018년 합의 이전에 북한은 DMZ 주변에 약 160개의 감시초소를 보유하고 있었던 반면, 남한은 60개를 보유하고 있었다.

군사 협정 이후 양측은 그 중 11개를 철거했습니다.

DMZ를 따라 한국군이 촬영한 북한 감시초소(국방부/AF)
DMZ를 따라 한국군이 촬영한 북한 감시초소(국방부/AF)
남북한의 포괄적 군사합의로 알려진 방위 협정은 국경의 긴장을 완화하고 우발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무력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비행금지구역을 포함해 5㎞에 달하는 완충지대를 조성했다.

지난 화요일(11월 21일) 정찰위성이 발사된 후, 북한 관영 매체는 김정은이 하와이와 서울에 있는 미군 기지 사진을 검토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찰위성 발사에 공헌한 과학자들을 만난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그의 딸 (KCNA VIA KNS/AFP via Getty Image)
정찰위성 발사에 공헌한 과학자들을 만난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그의 딸 (KCNA VIA KNS/AFP via Getty Image)
11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9명은 북한의 위성 발사가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것이라고 비난하는 성명을 통해 미국과 합류했으며, 이는 다수의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위반한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미국은 북한의 발전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월요일에 예정에 없던 UNSC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한국.

한편 한·일·중 외교장관이 일요일 부산에서 만나 4년 만에 3국 정상회담 재개 시기를 논의했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3국 정상 간 회담이 내년쯤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으로 인한 긴장 고조가 이번 회의의 의제 중 하나였습니다.

기관별 추가 보고

North Korea moves troops and heavy weapons to South Korea border after breakdown of military pact

Shweta Sharma

Mon, 27 November 2023 at 8:24 pm AEDT

This undated handout photo released on November 27, 2023 by the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 shows North Korean soldiers near a guard post on the North side of the Demilitarised zone (DMZ) dividing the two Koreas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AF)
This undated handout photo released on November 27, 2023 by the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 shows North Korean soldiers near a guard post on the North side of the Demilitarised zone (DMZ) dividing the two Koreas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AF)

North Korea is rushing soldiers and weaponry to its border with South Korea, reopening sensitive guard posts after the breakdown of the historic 2018 deal to avoid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North Korea has deployed heavy weapons and erected guard posts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DMZ) border that were demolished under the peace agreement five years ago, the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 said on Monday.

The deal came in a year of thawing inter-Korean tensions, beginning with talks between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s Kim Jong-un and ending in a September 2018 joint agreement at a celebratory meeting between Mr Kim and then-South Korean leader Moon Jae-in.

But progress in denuclearisation talks later stalled, and tensions are now significantly ratcheting up again between the two Koreas after Pyongyang said it had successfully placed a spy satellite into orbit, its latest show of defiance against UN-led sanctions.

In a retaliatory move, South Korea partially suspended the 2018 agreement and resumed surveillance flights along the border.

North Korea responded by fully withdrawing from the pact and vowing to make South Korea “pay dearly” for nullifying parts of the pact, according to state media KCNA.

On Monday, South Korea’s defence ministry released pictures taken since Friday showing North Korean soldiers installing temporary guard posts in several locations.

They were also pictured setting up what appeared to be a recoilless rifle – a portable anti-vehicle weapon or light artillery piece – at a fortification, it said.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 shows North Korean soldiers rebuilding a guard post on the North side of the Demilitarised zone (DMZ) dividing the two Korea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AF)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 shows North Korean soldiers rebuilding a guard post on the North side of the Demilitarised zone (DMZ) dividing the two Korea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AF)

A senior military official said that before the guard posts were destroyed under the deal there were observation posts and North Korea is now “presumed to be rebuilding them”, according to Yonhap, a South Korean news agency.

“There are only a few guard posts currently undergoing restoration work, but the North is expected to restore all of them as they are essential facilities for surveillance,” the official added.

South Korea’s Joint Chiefs of Staff said that the military will take “corresponding measures” in response to the North’s move.

“It depends on the enemy’s behavior. It is North Korea that has taken actions and broken trust … We will take corresponding measures. Not taking an action would be more foolish,” said general Kim Myung-soo, the new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who took office on Saturday.

According to South Korea’s estimates, before the 2018 agreement North Korea had about 160 guard posts along the DMZ, while the South had 60.

Each side demolished 11 of them following the military deal.

A North Korea guard post picture by South Korea military along the DMZ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AF)
A North Korea guard post picture by South Korea military along the DMZ (South Korean Defence Ministry/AF)

The defence pact – known as the Inter-Korean Comprehensive Military Agreement – was aimed at de-escalating tensions at the border and preventing accidental clashes. It created a 5km buffer zone, including a no-fly zon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n armed conflict.

Following the launch of the spy satellite last Tuesday (21 November), North Korean state media claimed Kim Jong-un was able to review photos of US military bases in Hawaii and Seoul.

North Korea’s leader Kim Jong-un and his daughter meeting with scientists who contributed to the launch of a reconnaissance satellite (KCNA VIA KNS/AFP via Getty Image)
North Korea’s leader Kim Jong-un and his daughter meeting with scientists who contributed to the launch of a reconnaissance satellite (KCNA VIA KNS/AFP via Getty Image)

On 22 November, nine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joined the US in a statement that denounced North Korea’s satellite launch for using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calling it a violation of multiple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United States called an unscheduled meeting of the UNSC for Monday to discuss the developments in North Korea.

Meanwhile, the foreign ministers of South Korea, Japan and China met on Sunday in the South Korean port city of Busan to discuss when to resume their leaders’ trilateral summits after a four-year hiatus.

A meeting between the leaders of the three countries is expected to take place sometime next year, according to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adviser Cho Tae-yong.

Heightening tensions due to North Korea’s weapons programme were one of the agenda items of the meeting.

Additional reporting by agencies